회향식배관 마찰손실압력 질문 |
지** |
2023-03-17 |
명석님^_^ 안녕하세요. 이지원입니다.
질문 내용이 스프링클러설비의 압력에 대해 아주 많은 고민을 하신 것 같습니다. 이렇게만 쭉 학습하시면 1회차 합격 충분하십니다!!!
이 부분이 처음에 개념잡기 어려운 부분이에요 : )
헤드 ㄴ번에서는 방사압을 구할 때 ㄱ에 있는 회향식배관 마찰손실압력은 왜 안 더해주는 건지 궁금합니다.
헤드가 다 터진다는 가정이어서 ㄱ번에 있는 회향식배관 마찰손실압력도 고려해줘야 하는 거 아닌지 궁금합니다.
=> (ㄴ)의 방사압을 구할 때, C점에 연결된 (ㄱ)의 회향식 배관 마찰손실압력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옥내소화전을 예로 들어볼께요~!
옥내소화전의 펌프 전양정을 구할 때, 최고 위 말단에 있는 방수구까지의 마찰손실을 고려하죠?
맨 꼭대기 층에 방수구가 2개 있다 하더라도, 제일 말단 방수구까지의 마찰손실만을 고려합니다. |
이지원 |
2023-03-18 |
옥내소화전도 29층 이하에서는 방수구 2개가 함께 개방될 수 있다는 조건 하에 "수원의 양", "펌프 토출량"을 구하는데,
왜 펌프의 전양정을 구할 때는 "제일 말단에 있는 방수구까지의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실+마+방"으로 전양정을 구할까요?
왜냐하면 말단 방수구에서 방수압이 0.17MPa이 나온다면, 그 이전에 있는 방수구는 펌프와 더 가까워지므로 0.17MPa보다 더 큰 방수압으로 물이 나오게 됩니다.
즉 펌프의 전양정이란, 펌프에서 필요한 압력을 구하는 것인데
"말단 방수구까지의 마찰손실"을 고려하고 전양정을 구하고,
"그 이전에 설치된 방수구까지의 마찰손실"은 고려하지 않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
이지원 |
2023-03-18 |
이와 마찬가지로 (ㄴ)의 방사압을 구할 때, 제일 말단 헤드인 D점에 연결된 헤드로 부터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B점에서 필요한 압력"을 구하고
"B점"에서 (ㄴ)헤드로 물이 방수될 때, "ㄷ자 모양의 회향식 배관에서 발생하는 마찰손실"만 빼주시면 되겠습니다.
비슷한 유형의 문제로 스프링클러설비 20번 문제의 소문항 (3) D점에서의 압력을 구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부분이 처음에는 잘 이해가 안 가실 수 있어요 :) 쉽지 않은 내용입니다~!
회독을 거듭하다 보면 아! 하고 깨닫는 순간이 올 겁니다. : )
화이팅이에요!!!! 아자자자자!!! |
이지원 |
2023-03-18 |
방수량 구할 때 질문 초격차 이론 p.88 |
지** |
2023-03-15 |
안녕하세요 명석님 이지원입니다 : )
펌프의 상사법칙은 말 그대로 펌프에서 적용되는 비례법칙입니다.
해당 문제는 방사압력과 방사량과의 관계를 묻는 문제이므로 해설의 풀이로 풀어주세요 :)
답은 똑같이 나오지만, 근본적인 내용이 다릅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
이지원 |
2023-03-16 |
소괄호 2번문제 p=rh로 푼 방식을 베르누이 방식 질문 |
지** |
2023-03-14 |
안녕하세요 명석님~! 이지원입니다.
위의 식과 같이 풀어도 무방합니다. 이 베르누이 방정식을 간소화 시킨 것이 책의 풀이가 되겠습니다 :)
처음에는 수월한 접근방식으로 이해해 주시고, 차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책의 풀이를 이용하시면 되겠죠?!
화이팅입니다!!!!!!!!!!! 아자자자장! |
이지원 |
2023-03-16 |
5번 문제 소괄호 2번에서 질문 |
지** |
2023-03-14 |
안녕하세요 명석님^^ 이지원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초격차 책의 풀이대로 학습 진행하시면 됩니다. 첫 번째로 층의 주용도가 주차장이므로 "특정소방대상물별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기준"에 따라 바닥면적 100m^2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차장 바닥면적 1500m^2에 소화기의 갯수 5개를 설치해야 합니다.
두번째, "부속용도별로 ★추가★하여야 할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따라 보일러실의 경우, 보일러실의 바닥면적 100m^2에 ★추가로★ 소화기를 바닥면적 25m^2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비치해야하므로 소화기 2개를 ★추가★ 설치해야 합니다.
보일러실의 용도는 소화기를 추가 설치해야 한다는 점을 체크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므로 주차장 1500m^2에 대한 소화기 갯수 산정 후, 보일러실 100m^2에 대한 소화기 갯수를 추가로 더해 주셔야 합니다.
명석님의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아자자자자장! 화이팅!!!!! |
이지원 |
2023-03-16 |
22차시 P154 10번 1번 계산과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
정** |
2023-03-13 |
안녕하세요 준용님! 이지원입니다 : )
괄호 조건(단서조항)에 소수점 자리에 대한 언급과 단위변환은 "무관"합니다.
1MPa = 100m는 표준대기압을 이용한 단위변환의 약식인데, 이것을 화재안준기준에서 양정 구할 때 사용하니
우리가 문제를 풀 때에도 적용하는 것입니다. |
이지원 |
2023-03-16 |
초격차 이론서 스프링클러 설비 10번문제 때문에 질문을 주셨으리라 조심스레 예상해봅니다. :)
0.05MPa을 1MPa=100기준으로 해도 똑같이 5m의 결과 값이 나옵니다.
강의 때 말씀드린 것과 같이 모든 방수압 변환을 (1) 표준대기압 환산수두 이용, (2) p=rh 이용하셔도 됩니다.
이게 정석이죠^^
다만, 화재안전기술기준의 옥내소화전을 예를 들자면 0.17MPa 을 17m로 보기 때문에
1MPa=100m라는 약식으로 단위변환을 일부 하는 것 뿐입니다.
문제 풀 때 단위변환 부분은 출판사마다 내용이 다르고, 답도 달라지며 공단에서도 인정해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본인의 기준을 가지고 쭉 풀어나가시면 되고, 저와 함께 학습하고 계시니 우리는 딱!!!kPa만!!!! 조심해서 변환하도록 해요! :)
약식 변환 시 결과값에 오차가 큰 것은 [양정m=>압력kPa] 로 변환할 때 입니다.
이 부분만 신경써서 표준대기압 환산수두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
이지원 |
2023-03-16 |
정리하자면, 화재안전기준 관련 문제의 방수압 단위변환 시
(1) 문제에서 MPa로 구하라! 라고 했을 경우[m=>MPa] : 1m=100MPa 기준으로 변환
(2) 문제에서 kPa로 구하라! 라고 했을 경우[m=>kPa] : 대기압환산수두(또는 P=rh)를 이용하여 변환
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아자자자장!!!! |
이지원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