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차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강의 중 체크밸브 설치 위치 문의 |
심** |
2023-05-29 |
P262 배관 설지기준 요약표 배관부속 고압식에서 2차측을 설명할 때와 상반됩니다 |
심요셉 |
2023-05-29 |
실기기계cp5 p177 |
배** |
2023-05-25 |
진성님 안녕하세요! 이지원입니다.
각 구간별 마찰손실압력을 구할 때 배관의 길이는 "직관의 길이 + 관부속품의 상당길이"입니다.
자세히 풀어쓰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④번 : 0.45(D~최종헤드 직관길이) + 1.8(관부속품 상당길이: 25A 90도엘보 2개) => (0.1+0.05+0.3) + (0.9 X 2)
(1) ③번 : 3.5(C~D 직관길이) + 1.5(관부속품 상당길이: D점의 25A 분류T 1개)
(1) ②번 : 3.5(B~C 직관길이) + 1.5(관부속품 상당길이: C점의 25A 분류T 1개)
(1) ①번 : 3.5(A~B 직관길이) + 1.8(관부속품 상당길이: B점의 32A 분류T 1개)
수계소화설비에서 구간 별로 마찰손실을 구할 때, 경계 부분의 관부속품이 어떤 구간에 속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텍스트로 설명하는 부분은 한계가 있으므로 "분류T"를 어느 구간에 산정해야 하는지 꼭! 해당 부분은 강의 내용 참조 바랍니다. |
이지원 |
2023-05-26 |
과년도 79페이지 32번 질문있습니다. |
조** |
2023-05-24 |
안녕하세요 훈래님! 이지원입니다.
1.
이 문제에서 원하는 답은 "전체 손실수두[m]" 입니다.
그런데 단서조항으로 "관 내 마찰은 무시한다" 라고 주어져 있죠?
즉, 관 내 마찰손실만 무시하겠다는 것이고, 그 외 다른 손실은 있다는 것입니다.
2.
사이펀 관을 보시면 유체가 1지점(수면 높이)까지 차있고 1지점으로부터 3지점으로 방출됩니다.
베르누이방정식을 적용하는 문제들이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사이펀관도 항상 푸는 방식이 똑같기 때문에, 처음에는 암기 위주로 학습을 하시다가 3회독 부터는 이해 위주의 학습을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수학도 처음엔 암기로 시작합니다^_^
유체역학 문제풀이를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시되, 이해가 어려운 부분을 현재 오랫동안 잡고 있으면 10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차후 3회독 쯤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했을 때에는 5분도 안 되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훈래님의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
이지원 |
2023-05-27 |
베르누이 방정식 질문 잇습니다.. |
조** |
2023-05-24 |
안녕하세요 훈래님!
해당 부분은 처음 유체역할을 접하셨을 때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크게 분류를 하자면,
1. 베르누이방정식
마찰손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1지점과 2지점 사이에 펌프가 없을 경우
2. 마찰손실수두를 고려한 수정 베르누이 방정식
마찰손실을 고려할 수 있는 조건이 주어지고(예를 들면, 관마찰계수 f라던가, 1지점과 2지점 사이의 압력 강하가 생긴 것 등등...)
1지점과 2지점 사이에 펌프가 없을 경우
3. 펌프의 전양정을 고려한 수정 베르누이 방정식
1지점과 2지점 사이에 펌프가 있는 경우
훈래님! 다회독을 하고 익숙해지시면 저절로 깨달아지는 부분도 많으니, 처음에는 진도 위주의 학습을 하시고 이해가 잘 되지 않은 부분은 체크만 하신 뒤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2회독, 3회독, 4회독 시 다시 한번 문제를 풀어보시면, 저절로 풀리는 것들도 생길거에요 : )
화이팅입니다!!! |
이지원 |
2023-05-27 |
유체역학 필기문제풀이 |
전** |
2023-05-24 |
진표님 안녕하세요.
절대압 = 대기압 + 계기압
= 대기압 - 진공압
이 식으로 풀이한 계산식이 아닙니다.
답변에 그림 그려드리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녹색 선 부분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
계기압력은 대기압보다 큰 압력을 의미하고,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작은 압력을 의미하므로
계기압력(50kPa)이 진공압(-30kPa)보다 얼마나 더 높은지 구하려면
50-(-30)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해설의 절대압 식은 참조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합격의 그날까지 화이팅입니다!!! |
이지원 |
202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