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강의

  • [소방설비기사] 공학용 계산기 + 유체기초 (첨부파일 제공)

    강사진
    이지원
    수강기간
    7일

    100000

    0

    NEW HOT
  • 소방설비기사(기계) 365 올인원 패스

    강사진
    이지원, 오민정
    수강기간
    365일

    2394000

    249000

    NEW HOT
  • 소방설비기사(전기) 365 올인원 패스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수강기간
    365일

    1953000

    249000

    NEW HOT
  • 소방설비기사(기계) 180 필기 합격팩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수강기간
    180일

    1692000

    149000

    NEW HOT
  • 소방설비기사(전기) 180 필기 합격팩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수강기간
    180일

    1386000

    149000

    NEW HOT
  • 쌍기사 올인원 패스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수강기간
    730일

    3663000

    399000

    NEW HOT
  • 소방설비기사(기계) 180 실기 합격팩

    강사진
    이지원
    수강기간
    180일

    702000

    149000

    NEW HOT
  •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365 올인원 패스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오도희, 이동민
    수강기간
    365일

    2412000

    219000

    NEW HOT
  •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365 올인원 패스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오도희, 이동민
    수강기간
    365일

    2061000

    219000

    NEW HOT
  •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180 필기 합격팩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오도희, 이동민
    수강기간
    180일

    1620000

    89000

    NEW HOT
  •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180 필기 합격팩

    강사진
    오민정, 이지원, 오도희, 이동민
    수강기간
    180일

    1386000

    89000

    NEW HOT
  •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180 실기 합격팩

    강사진
    이동민, 이지원
    수강기간
    180일

    792000

    149000

    NEW HOT

단과 강의

  • 소방설비(산업)기사 무료 강의

    강사진
    이지원, 박선종
    수강기간
    1일

    0

    0

    NEW HOT
질문&톡톡 리스트
기계실기 p105 15번 -7번 배** 2023-05-23
안녕하세요 진성님! 이지원입니다. 15번 소문항 (7)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말씀주신 0.55[MPa]은 소문항 (4)에서 "정격토출량의 150%로 과부하 운전을 할 때의 토출압력"입니다. 그러나 소문항 (7)에서는 ★(6)에서 산정된 방수량, 방수압력을 기준★으로 노즐 구경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소문항 (6)에서 구한 방사압력과 방수량을 기준으로 소문항 (7)을 산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0.57MPa과 238.04 LPM을 기준으로 관경을 구해야 합니다. 초격차 이론서 91P 9번 문제와 비교해서 설명을 드릴께요! 이 문제는 조건 ③을 보시면 배관 직경 산정 기준을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기준으로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지원 2023-05-23
결론적으로 "문제의 조건"에 따라 배관이나 노즐 구경의 산출이 달라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_^ 기계 실기 시험은 "조건"과 "화재안전기준"이 가장 최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주어진 조건을 빠뜨리지 않고 반영하여 답을 구해내는 것이 시험 합격의 열쇠가 될 거에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합격까지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_^ 이지원 2023-05-23
기계실기 18년 제1회 12번 마지막이에요 김** 2023-05-23
안녕하세요 보미님! 이지원입니다. 혹시 2022년 초격차 교재로 학습하고 계신지요? 사진 올려주신 문제의 표에서 티가 "50x50x50A" 이 정오사항으로 2023년 초격차에 "50x50x40A"로 반영되어 발간되었습니다. ㅠㅠ 이 문제를 학습하심에 있어 정오로 인해 불편함이 있으셨을텐데 죄송합니다. 질문주신 내용으로 티가 "50x50x50A" 동일티일 때, "50X40A" 레듀셔의 수량이 2가 되는 것이 맞습니다. 아울러 2023년 버전의 문제를 답변에 첨부하여 올려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기계 실기 시험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건을 잘 적용하여 푸는 것이 합격의 열쇠입니다. 말씀주신 것과 같이 어떤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으면, 연쇄적으로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틀릴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처럼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최대한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보미님의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_^ 화이팅이에요~!!!! 이지원 2023-05-23
실기기계cp1. P57 14번 배** 2023-05-23
안녕하세요 진성님! 이지원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1.p0=p2=o 가 0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있나요 유체역학에서 대기압(p0)은 "0"으로 보고 풀이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유체역학에서는 게이지압이 기준입니다. 따라서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할 때 반드시 "게이지압"을 기준으로 대입하셔야 합니다. p2는 노즐에서 방수될 때의 압력으로 대기압과 맞닿기 때문에 p2를 대기압으로 가정하고 풀이합니다. 2.수평노즐이라는 것이 문제에 안나왔을때 그림을 통해서 확인하여서 z1=z2 가 같다는 것을 확인하나요 문제에서 노즐의 각도가 따로 주어지지 않는 한 수평이라고 가정하시고 풀이하시면 되겠습니다. 기계 실기 시험에서는 주어지지 않은 조건을 무시합니다. 각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0도, 즉 수평을 의미한다고 보셔야 되겠습니다. 이지원 2023-05-23
3. 수평노즐이 아니라면 문제에 대입해서 푸나요? 맞습니다. 문제에서 노즐의 각도가 주어진다면, 혹은 배관 중심과 노즐 중심의 고저의 차가 주어진다면 "위치수두"를 고려하여 풀이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z1, z2의 값이 달라지겠죠?^_^ 처음 기계 실기 시험을 준비하실 때 의문점이 많이 생기실거에요. 이 문제와 같이 유체역학 관련 문제라던가, 조건이 미흡한 문제들이 예시가 되겠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처음부터 잘 풀이가 되지 않으실거에요~! 너무나 당연한 현상입니다. 강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기 문제들을 쭈욱 접해보시고 난 뒤, 여러 번 반복 회독하셔서 반드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 유형, 조건 유형을 암기하셔야 합니다. "이런 조건에서는 이렇게 푸는 것이다"라는 감이 올 때까지 반복해 주시고, 계산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반복 또 반복해 주셔야 합격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합격의 그날까지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이지원 2023-05-23
기계실기 18년 제1회 12번 김** 2023-05-23
안녕하세요 보미님! 이지원입니다. 지난번 첨부해 드렸던 답변의 그림을 재 첨부하여 드립니다. 그림의 하단을 보시면 "스프링클러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표"의 일부를 써 놓았습니다. (이 표는 2023 초격차 이론서 134p 에 나와있습니다.) 문제에서 습식스프링클러 설비라고 했으므로 헤드가 "폐쇄형 헤드" 가 됩니다. 따라서 "가" 기준에 따라 배관 구경을 산정하여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림상 은 헤드 8개를 담당하는 배관이므로 50A배관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은 헤드 4개를 담당하는 배관이므로 40A배관이 되어야 합니다. 아울러, 은 "교차배관이므로 "최소 40mm이상"이어야 하기에 40A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지원 2023-05-23
이제 D지점을 조금 더 상세히 들여다 볼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D지점 중간에 레듀셔는 필요 없습니다. 왜냐하면 문제에서 주어진 표를 보시면, "50x50x40A" 티로 주어져 있습니다. (문제에 주어진 표와 답변에 첨부드린 그림 다시 한번 참조 부탁 드립니다.) 만약 문제의 표에 50x50x50A인 동일티가 규격으로 주어졌다면, 질문주신 것과 같이 레듀셔가 필요한 것이 맞습니다 : ) 사실 이렇게 50x50x40A 티가 주어진 것은 문제의 함정이 되겠죠?^_^ 다시 한번 관경을 산정해주시고 또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질문톡톡에 남겨주세요! 보다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이지원 2023-05-23
교수님479페이지 25문제에서 대기압에서 액체 증기압을 빼는 것이 이해가 안갑니다~ 이** 2023-05-23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9
  2. 할인모아
    할인모아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