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톡톡

목재 표면적과 인화 및 발화 속도와의 관계 문의'통나무와 부스러기가 많은 나무' 수고가 많으십니다.. 물질의 인화/발화와 관련하여, 대상물질의 표면적이 큰것과 작은것 중'통나무와 부스러기가 많은 나무 등' 인화 및 발화의 관점에서 어느것이 인화 및 발화 시간이 빠른지 명확히 이해가 안됩니다. 금화도감에 이와 관련된 내용'다공성물질, 발화, 목재화재, 열전달 외'을 비교해도 아래의 내용이 혼란스럽습니다. 1. 통나무 및 부서진나무''또는 422
  • [전병호] 소방기술사 심화반 part1 ※22년 5월 직강촬영분
  • 11차시 Chapter 1. 다공성 고체물질
  • 전병호
  • 박**
  • 2023-07-24
목재 표면적과 인화 및 발화 속도와의 관계 문의'통나무와 부스러기가 많은 나무'

수고가 많으십니다..

물질의 인화/발화와 관련하여, 대상물질의 표면적이 큰것과 작은것 중'통나무와 부스러기가 많은 나무 등' 인화 및 발화의 관점에서 어느것이 인화 및 발화 시간이 빠른지 명확히 이해가 안됩니다.
금화도감에 이와 관련된 내용'다공성물질, 발화, 목재화재, 열전달 외'을 비교해도 아래의 내용이 혼란스럽습니다.

1. 통나무 및 부서진나무''또는 다공성나무'
    1' 표면적 측면 : 통나무는 부서진나무'또는 다공성나무' 대비 표면적은 작으므로 방열 측면에서는 표면적이 큰것 보다 방열이 작아 열축척이 크므로 인화 및 발화'자연발화 포함' 시간이 빨라야 함.
'단, 이 경우 내부에서 발열이 있는 경우는 표면적이 작으면 방열은 적으나 인화와 같이 외부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는 표면적이 작으면 방열량도 줄어들지만 입열량도 작어서 표면적이 작은것과 큰것 중 어느 경우가 화재발생이 빠른지 불명확 함'
 
    2' 밀도측면 :  열전달은 밀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밀도가 높으면 낮은 밀도 대비 열전달이 잘 될것으로 사료 되는바, 통나무는 부서진 나무 대비 밀도가 크므로 방열이 잘되어 인화 및 발화/자연발화 시간이 늦을것 같음. '단, 이 경우 밀도가 크면 방열량이 증가 하지만  외부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는 밀도가 크면 입열량도 증가 하므로 밀도가 방열과 입열 측면에서 어디에 영향이 더 큰지를 이해할 수 없음'


 

댓글을 달아주세요.

전병호 23-07-25 12:28
안녕하세요, 전병호입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1. 표면적이 큰 경우 열을 받는 면적이 넓어집니다. 두꺼운 고기를 구울 때 고기를 잘게 잘라야 속까지 익는 것을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2. 밀도가 클 때 입열량이 크다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3. 단순히 열관성, 즉 밀도 비열 열전도도가 크면 방열에 유리, 작으면 방열에 불리함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12
  2. 문제복원
    문제복원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